기사 메일전송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도시와 농촌 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ousing Poverty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Comparing urban and rural Areas
  • 성희자 편집부
  • 등록 2021-03-24 16:51:39

기사수정
  • 권현수, 박은주(경남대)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가 도시와 농촌지역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2019년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단독가구 가구주 2,732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불안정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할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단독가구의 경우 주거불안정성 요인이, 농촌지역은 최저주거기준미달 요인이 노인단독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단독가구의 주거조건과 관련한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노인단독가구의 주거지원을 강화하고 도시와 농촌지역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주거지원정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overty and life satisfaction for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2,732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aged 65 or older using the 14th year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in 2019. The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r the housing instability of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and the lower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the lower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 For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living in urban areas, the factors of housing instability, and in rural areas, the factors below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have more nega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related to the housing conditions of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housing support policies are needed that will enhance housing support for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and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in urban and rural areas.

덧붙이는 글

=87 권현수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facebook
사회복지학부 재학생 유투브 채널
인스타그램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