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Housing Poverty of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 편집국
  • 등록 2021-03-24 16:55:04

기사수정
  • 박은주 ( Park Eun Joo ) , 권현수 ( Gweon Hyun Soo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2020.  47권 1호 . pp.117-142. 에 실린 글


 

이 연구는 주거비 과부담과 최저주거기준 미달을 기준으로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 규모를 파악하고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복지패널 13차년도 자료(2018년)에서 가구원수가 2인 이하이며 가구주와의 관계가 본인 혹은 배우자인 조건을 모두 충족한 만 65세 이상 가구주 2,836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단독가구 중 주거비 과부담 및 최저주거기준 미달 중 하나라도 해당하는 주거빈곤가구는 22.1%로 나타났고,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14%, 주거비 과부담가구는 9.8%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 소득, 비자가 여부, 비지상거주 여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임차료 및 수선유지비 지원, 무장애 설계(barrier-free) 지원, 비지상 주거의 개선을 유도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 및 ‘자신에게 친숙한 환경에서 계속거주하기(aging in place)’실현을 위한 다양한 노인주거 대안마련 등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 특성을 고려한 주거복지정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agnitude of housing poverty among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based on minimum housing standards and housing affordability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housing poverty among them using logistic regression. For the analysis, 2,836 households aged 65 or older who have less than 2 members of household and who have satisfied the conditions of their own or spouse were analyzed in the 13th year data (2018) of the Korea Welfare Panel. The analysis shows that 22.1% of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were experiencing housing poverty, based on housing affordability and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14% of households were below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and 9.8% of households were overburdened with housing costs. In addition, factors affecting housing poverty in single or coupled older households were health conditions, income, non-homeowner, and non-ground-floor res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a housing welfare policy considering the housing poverty characteristics of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such as through rent, repair, and maintenance expense support, support for a barrier-free design, the preparation of institutional systems to improve non-ground-floor residences, and the preparation of various housing alternatives for elderly adults, in order to realize the goal of “aging in place,” so that elderly individuals can continue to live in familiar environments.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facebook
사회복지학부 재학생 유투브 채널
인스타그램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