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논문] 도박중독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변화단계이론을 중심으로
  • 이연주 책임기자
  • 등록 2022-10-13 01:04:52
  • 수정 2022-10-22 12:54:23

기사수정
  • 김연정(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지도교수 : 이경은
  • 발행연도 : 2021. 6.

  본 연구의 목적은 도박중독 교육 프로그램이 도박중독자들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성을 변화단계 이론을 바탕으로 검증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모형은 비동질 통제집단 사전 사후 측정 설계이며 설계자료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D센터를 이용한 대상자들의 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 ANCOVA 및 X2(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프로그램은 도박중독자들의 도박문제를 감소시켰다. 특히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단도박변화동기 중 양가성이 감소하고 실천이 증가하였다. 구체적인 하위영역의 확인은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설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회복을 위한 개입의 기준과 방향을 제공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도박중독자들의 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확대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변화단계를 변화시켰다. 변화단계와 변화과정의 연관성은 여러 선행연구들에서도 확인되었으며 변화단계의 변화는 도박문제 치유 및 회복을 위한 변화과정을 의미한다. 이처럼 변화단계를 고려한 개입은 치료의 효과성 향상 및 회복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향후에는 치료적 개입 시 단계별 변화과정과 변화동기를 고려한 치료가 적극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프로그램은 도박중독자들의 정서적 회복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정서적인 측면을 다룰 수 있는 회기가 추가되거나 교육 참석 이후 정서적인 수용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단계별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넷째, 단도박 변화동기 중 ‘인식’의 변화 역시 유의미하지 않았는데 ‘인식’ 요인의 증가를 회복의 기준으로 볼 것인지는 각 연구마다 상이한 결과가 있어 이에 대한 재정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도박중독 문제와 회복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 개발 및 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매뉴얼을 기반으로 한 효과성 검증 척도 개발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회복의 지표로 볼 수 있는 하위요인들의 변화를 분석하여 대상자들의 변화단계를 고려한 개입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도박중독 교육 프로그램이 변화단계의 핵심인 양가성을 감소시켰으며 이는 단도박 실천의 증가로 이어져 내담자들의 도박문제를 감소시키고 변화단계 변화를 촉진시켰다. 도박중독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으며 교육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자 범위를 학교 밖 청소년과 성인들까지 포함할 수 있도록 확대해야 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하는 지역센터의 확대 및 온라인 교육 활용 등의 대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도박중독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

적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박중독 회복을 위한 치료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도박중독 치유에 대한 개입의 질적인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이미지출처 = 픽사베이


The purpose of this study verify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gambling addiction education programs on the recovery of gambling addicts based on the stage of change theory. The study model is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ith pretest-posttest, and the design data was used as secondary data for subjects using the D Center from 2015 to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with technical statistics and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COVA and X2(chi-square). The finding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programs have reduced the gambling problem of addicts. In particular, the ambivalence component of gambling among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decreased and the practice for stop gambling increased.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recovery of gambling addicts and should be further expanded based on these findings.

Second, education programs have altered the stage of change. The link between the phase of change and the process of change has also been identified in several previous studies, and the change of phase of change refers to the process of change for the healing and recovery of gambling problems. As such, interventions considering the stage of change played a role in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and promoting recovery, and in the future, treatment considering the step-by-step change process and motivation of change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in therapeutic interventions.

Third,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identified as ineffective in the emotional recovery of gambling addicts. This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additional sessions to deal with the emotional aspects, or a step-by-step approach to lead to changes in emotional acceptance after attending training.

Fourth, the change in ‘recognition’ of motivation for stop-gambling change, was also meaningless. Whether or not the increase in 'recognition' factor is regarded as the criterion for recovery has different results for each study, so it should be redefin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cale that can measure gambling addiction problems and recovery, and to develop an effectiveness verification scale based on the contents and manuals of educational programs.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subfactors, which can be seen as indicators of recovery, and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considering the change stages of the subjects. Studies show that gambling addiction education programmes have reduced ambivalance, a key part of phase of change about the transition to gambling addiction. This has led to a decline in gambling, which has reduced gambling behaviour among gambling addicts and accelerated the phase of change. The effectiveness of the gambling addiction education program has been verified and specific ways to expand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scope of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being conducted for students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out-of-school adolescents and adults. In addition, alternatives such as the expansion of local centers that provide education and the use of online education are needed to enhance access to the program. Finally, there should be an institutional basis for changing the negative social perception of gambling addiction. Through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reatment for the recovery of gambling addiction was presented and the qualitativ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in the treatment of gambling addiction was evaluated.


URL

TAG
1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facebook
사회복지학부 재학생 유투브 채널
인스타그램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