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논문] 독거노인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이연주 책임기자
  • 등록 2022-11-10 23:03:50
  • 수정 2022-11-10 23:14:37

기사수정
  • 전진(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지도교수 : 전혜숙
  • 발행연도 : 2021. 6.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of stress that influence depression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as well as to determine whether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The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for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tress process model. The study participants were men and women aged 65 years or older living alone in G-city, Gyeongsangbuk-do. A total of 138 questionnaires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5.0. Furthermor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life event stress and daily stress on depression. Meanwhile, the analysis method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aily stress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Second, social support mediated the process in which daily stress affected depression.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의 유형을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스트레스와 우울증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설계 및 분석은 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기반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상북도 G-city에 혼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였다. 일대일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총 138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일상 스트레스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한편,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and Kenny(1986)가 제안한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일의 스트레스는 독거노인의 우울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일상 스트레스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매개하였다.


URL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facebook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최신뉴스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