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논문] 조기퇴직자의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 효과성을 분석
  • 이연주 책임기자
  • 등록 2022-11-24 04:01:40
  • 수정 2022-11-24 04:04:25

기사수정
  • 이은진(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지도교수 : 전해숙
  • 발행연도 : 2021. 6.

  With the aging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progresses faster than ever unprecedentedly in the world, the phenomenon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and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early retirees bring about many changes to individuals and society and raise various problems at the same time. Despite the middle and old age is a critical time in which people play socially pivotal roles in the life-cycle, involuntary early retirement leads to the impossibility of the acquisition of social roles and the deepening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solation, which weaken the status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In other words, it brings about a decline in their generativity due to the suspension of productive activities, negatively affects their self-efficacy obtained by achieving various roles as individuals and for society and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maintai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middle and old aged people to give back individual knowledge and experience to society, giving them the roles lost due to early retirement again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o maintain and improve their generativi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Recently,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SCA)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has begun to be recognized as a work, which is a task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who retired early, and its concept has expanded as an activity of which the value is recognized by society, which has public interest and social value. Also, of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ttention is drawn to the aspect that SCA can utilize the professionalism and experience of retirees. And yet, in South Korea, some SCA programs for early retirees in middle and old age are implemented as pilot projects by the government, and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for analysis of effectivenes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u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CA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welfare for early retirees in middle and old ag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an SCA program for early retirees in middle and old age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generativi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s for the research method, of the early retirees in middle and old age using J. Social Welfare Center, composing a participation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roug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pre-, post-, and follow-up tests were conducted by constructing a participation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was a total of 86 persons. With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conducted x 2 test for the verification of homogeneity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ion group and control group, using SPSS Statistics 25.0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s fo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the SCA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generativity and change in the quality of life of early retirees in middle and old age and the effect was maintained in the follow-up. Thus, it was found that the SCA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formation and continuation of generativi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early retirees in middle and old age.

  As for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this study proposed a middle and old age SCA program of early retirees applicable to the field of practice, conducted a follow-up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increas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checking if the effectiveness continues after the program. It has significance in checking the trial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t the government level and developing the early retirees’ SCA program into a sustainable program in the future.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대한민국의 고령화와 더불어 중고령자의 조기퇴직(early retirement) 현상 및 조기퇴직자 수의 급속한 증가는 개인과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옴과 동시에 다양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중고령기는 생애주기에서 사회적 중추적 역할을 하는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비자발적 조기퇴직은 사회적 역할 취득의 불가, 심리·정서적 고립의 심화로 이어져 중고령자의 지위를 약화시키고 있다. 즉, 생산적 활동 중단으로 인한 생성감의 저하와 개인 및 사회의 다양한 역할을 성취함으로써 얻게 되는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며 삶의 질을 유지·향상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므로 중고령자에게 조기퇴직으로 인해 상실한 역할을 사회 참여활동을 통해 역할을 재부여 함으로써, 개인이 가진 지식과 경험을 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생성감,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을 유지 및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사회적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공헌활동이 조기퇴직한 중고령자의 과업인 일로써 인정되기 시작했으며, 사회로부터 가치를 인정받고 공공의 이익과 사회적 가치를 갖는 활동으로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사회참여활동 중 사회공헌활동의 경우 전직의 전문성 및 경험 활용 가능하다는 측면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중고령기 조기퇴직자 대상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이 정부에서 시범사업으로 일부 진행되고 상황이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효과성 분석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중고령기 조기퇴직자의 복지향상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기 조기퇴직자를 위한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이 생성감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J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중고령기 조기퇴직자 중 비동일통제집단으로 참여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참여자는 총 8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참여집단과 비교집단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검증을 위해 카이스퀘어 검증(Chi square)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 대응표본 t검증(Paired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은 중고령기 조기퇴직자의 생성감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변화를 유의미하게 증가시켰으며, 그 효과는 추후 검사에도 유지되었다. 따라서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은 중고령기 조기퇴직자의 생성감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형성과 지속성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함의는 실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중고령기 조기퇴직자의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추후검사까지 실시하여 프로그램 종료 후의 효과성 지속여부 확인을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를 높였다. 이를 통해 정부차원의 시범적인 사회공헌활동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운영하는 조기퇴직자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의 향후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발전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URL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facebook
사회복지학부 재학생 유투브 채널
인스타그램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