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논문]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적응유연성의 효과 파악을 중심으로-
  • 이연주 책임기자
  • 등록 2022-12-03 19:29:49
  • 수정 2022-12-26 15:30:20

기사수정
  • 안영심(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지도교수 : 배성우
  • 발행연도 : 2021.02

  According to the 2020 United Nations (UN) Global Happiness Report, Koreans' happiness index is still at the bottom when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This result suggests that in the rapidly developing modern society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ore attention is being demanded in fields that cannot be replaced by machinery, and overall consideration of the needs, roles, and happiness of human service workers is necessary.

  Social workers are one of the professions most closely related to human happiness, and since social workers' happiness affects the qualitative level of happiness of those who receive social welfare service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happiness of social workers themselves. Especially, the happiness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who work for the mental health of the public is even more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defined 'subjective well-being(SWB)', including Hedonia, which refers to the state of temporary and immediate joy or satisfaction experienced by psychiatric social workers while performing their duties, and Eudemonia, which refers to the value and reward of work.

  On the other hand, the mental health practice field in Korea has a structure and conditions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psychiatric social workers to fully demonstrate their unique expertise. In addition, psychiatric social workers experience serious job stress because they are being asked for expertise based on roles that overlap with other professionals in mental health fields rather than securing their own independent expertise.

  Improving these structural problems is a very difficult process in reality, and there is a limit for psychiatric social workers to expect external force or organization to solve this problem in a complex and overloaded work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t an individual level.

  In this study, resilience is chosen as an important personal variable that helps to overcome the negative effects of job stress internally, and wheth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or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is exam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05 psychiatric social workers working in mental health-related agencies nationwide (psychiatric hospital,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mental care facilities, suicide prevention centers, addiction management centers, public institution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as analyzed through the SPSS 22.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stress,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In  terms of job str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analysis of resilience based on qualification level, mental health career, type of work organization, and annual income. The analysis of subjective well-being indic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type of work organization.

  Seco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qualification grade and resilience.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that resilience h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ubjective well-being.

  Third, it was 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Fourth, resili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 more comprehensive intervention is necessary for the future such as a program for improving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education and support at the institutional level as a way to overcome psychiatric social workers' serious job stress.


  2020년 유엔(UN) 글로벌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OECD 국가에 비해 여전히 최하위다. 이러한 결과는 4차 산업혁명으로 급격하게 발전하는 현대사회에서 기계로 대체할 수 없는 분야에 대한 관심이 더욱 요구되고 있으며, 인간서비스 종사자의 니즈와 역할, 행복에 대한 전반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사회복지사는 인간의 행복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직업 중 하나로, 사회복지사의 행복은 사회복지 서비스를 받는 사람의 행복의 질적 수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회복지사 자신의 행복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특히 국민의 정신건강을 위해 일하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행복은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가 직무를 수행하면서 경험하는 일시적이고 즉각적인 기쁨이나 만족의 상태를 의미하는 Hedonia와 가치와 보상을 의미하는 Eudemonia를 포함하여 '주관적 웰빙(SWB)'을 정의하였다. 


  한편, 한국의 정신보건실무 분야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가 자신의 전문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려운 구조와 여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정신건강사회복지사는 독립적인 전문지식을 확보하기보다 정신보건 분야의 다른 전문인과 중복되는 역할에 기반한 전문지식을 요구받게 되어 직무 스트레스가 심각하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과정이며 정신건강사회복지사가 복잡하고 과중한 업무 환경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의 힘이나 조직을 기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을 개인 차원에서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내부적으로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개인변인으로 회복탄력성을 선정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또는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 정신건강 관련기관(정신병원,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재활시설, 정신요양시설, 자살예방센터, 중독관리센터,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 205명이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구통계학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주관적 웰빙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직무스트레스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격 수준, 정신 건강 경력, 작업 조직 유형 및 연간 수입에 따른 회복탄력성 분석에서 통계적 차이가 관찰되었습니다. 주관적 웰빙에 대한 분석에서는 업무조직의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자격등급과 회복탄력성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웰빙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고, 회복탄력성은 주관적 웰빙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입증되었다.


  넷째, 회복탄력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서 조절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심각한 직무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제도적 차원의 교육과 지원 등 미래를 위한 보다 포괄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기사 = 편집부


URL





TAG
1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facebook
사회복지학부 재학생 유투브 채널
인스타그램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