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논문] 성인 자원봉사 만족도와 관련된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이연주 책임기자
  • 등록 2023-02-16 01:16:32

기사수정
  • 이은석(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지도교수 : 이경은
  • 발행연도 : 2020. 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collect various research results on variables related to adult volunteer satisfaction and to present the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adult volunteer satisfaction in an integrated manner. For this purpose, 1440 papers were discovered through three domestic online academic databases from 1999 to 2019 in Korea, and a total of 61 papers were used for meta-analysis according to PICOS research selection criteria. Variables related to volunteer satisfaction were classified into motivational variables, work variables, relationship variables, and management variables based on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Then, the average effect size for each variable was calculated, and after reviewing the heterogeneity of the effect size, a moder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ain this, and the publication bias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if the study included in each variable represented the stud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of the motivational variable was r = 0.397 (95% CI : 0.303 ~ 0.483) in order of altruistic and selfish motives. The subgroup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no publication bias.

  Second, the effect size of the work variable was r = 0.389 (95% CI: 0.343 ~ 0.433), which was in the order of work recognition, work adequacy, and expected convergence. Subgroup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blication year, proportion of women,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blication type, scale, research quality or client class. Publication bias were found to be in error in Egger's regression analysis, but no significant errors were found by the Trim and Fill test.

  Third, the effect size of relational variables was r = 0.480 (95% CI: 0.450 ~ 0.509), which was shown in the order of client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nd worker relationship. Subgroup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no publication bias.

  Fourth, the effect size of management variables was r = 0.356 (95% CI: 0.288 ~ 0.420), which was in order of education training, supervision and recognition compensation. Subgroup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no publication bias.

  Fifth, in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the work variabl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blication year and proportion of women,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blication type, scale, research quality, and client class.

  Among these study results, the followings are suggestions made by influential variables in order to increase the volunteer satisfaction.

  First, the relationship variables are the ones that have the highest impact on volunteer satisfaction and human relationship training is necessary for volunteers to form and maintain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client.

  Second, in order to strengthen the altruistic motives of motivational variables, institutions and facilities need to prepare and arrange work areas related to altruistic motive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 of altruistic motives for all people, the government needs to use "Article 11, Encouraging Volunteer Activities such as Schools and Workplaces" and "Article 13, Volunteer Day and Volunteer Week" as stipulated in the Framework Act o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Third, periodic supervision of the person in charge is necessary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work variables. In the level of work recogni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is high when there is a perception that what a volunteer does i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place of service. Therefore, agencies need to promote that a volunteer is essential and important to the agency and provide a periodic supervision when they begin their service.

  Fourth, in management variables, the government needs to build an educational platform without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busy modern people. The education platform can be viewed through computers or mobile phones, so that volunteers can get the training they need at any tim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Fifth, in the moderating variables, the publication year of the work variable increased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s, it is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promotion of volunteers from the first basic plan to the third of the nation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problem of the region is presumed to be the result of the government's policy and efforts of volunteers to solve the problem by themselves through volunteer work.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further expand private participation in volunteer policies and plans, and emphasize the role of volunteers as main agents to solving regional problems.


  본 연구는 성인 자원봉사 만족도와 관련된 변인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결과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성인 자원봉사 만족도와 관련된 변인들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온라인 학술 데이터베이스 3곳을 통해 1999년부터 2019년까지 1440편의 논문을 발견하였고, PICOS의 연구 선정 기준에 따라 메타분석에 사용된 연구는 총 61편이었다. 자원봉사 만족도와 관련된 변인은 이론과 선행연구를 근거로 동기변인, 업무변인, 관계변인, 관리변인으로 분류하였다. 그 후 각 변인에 대한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효과 크기의 이질성을 검토한 후 이를 설명하기 위해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에 포함된 연구가 연구결과를 대표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출간오류 분석을 하였다. 이에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변인의 효과크기는 r=0.397(95% CI : 0.303~ 0.483)로 이타적 동기, 이기적 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집단 분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출간오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변인의 효과크기는 r =0.389(95% CI : 0.343~ 0.433)로 업무인식도, 업무적절성, 기대합치도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집단 분석은 출판연도, 여성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출판유형, 척도, 연구질, 대상층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출간오류는 Egger의 회귀분석결과 오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Trim and Fill로 검정한 결과 심각한 오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변인의 효과크기는 r =0.480(95% CI : 0.450~ 0.509)로 대상자관계, 동료관계, 담당자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집단 분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출간오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리변인의 효과크기는 r =0.356(95% CI : 0.288~ 0.420)으로 교육훈련, 지도감독, 인정보상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출간오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절효과분석에서 업무변인은 조절변인을 투입한 결과 출판연도, 여성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출판유형, 척도, 연구질, 대상층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 중 자원봉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영향력 있는 변인을 중심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변인은 자원봉사 만족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자원봉사자가 대상자(Client)와 우호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인간관계훈련이 필요하다.

  둘째, 동기변인의 이타적 동기를 강화하기 위해 기관과 시설들은 이타적 동기와 관련된 업무영역을 마련(구혜영, 2012)하고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정부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이타적 동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자원봉사활동기본법에 명시된 “제11조 학교⋅직장 등의 자원봉사활동 장려”, “제13조 자원봉사자의 날 및 자원봉사 주간”을 활용하여 동기강화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업무변인의 업무인식도를 높이기 위해 담당자의 주기적인 수퍼비전이 필요하다. 업무인식도는 봉사자가 하는 일이 봉사하는 곳에서 중요한 일로 여겨지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이 있을 때 만족도가 높다. 따라서 기관에서는 봉사 업무를 시작할 때 봉사자가 기관에 꼭 필요하고 중요한 존재임을 고취하고 주기적인 수퍼비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관리변인에서 정부는 바쁜 현대인들의 교육훈련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교육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교육 플랫폼은 컴퓨터나 휴대전화를 통해서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봉사자가 언제든지 원하는 시간에 필요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다섯째, 조절변인은 업무변인의 출판연도가 효과크기의 차이를 높이는데 그 이유는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자원봉사진흥 국가 1차 기본계획부터 3차까지 진행하면서 민간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확대하였고, 자원봉사를 통해 지역의 문제는 주민들 스스로 해결하고자 하는 정부의 시책과 자원봉사자들 노력의 결과로 추정된다. 따라서 정부는 자원봉사 정책과 계획에 민간의 참여를 더 확대하고, 지역문제 해결의 주체로서 자원봉사자들의 역할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URL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facebook
사회복지학부 재학생 유투브 채널
인스타그램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