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논문] 빈곤 아동 스마트폰 의존의 요인에 관한 연구-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 이연주 책임기자
  • 등록 2023-02-23 02:02:51

기사수정
  • 하나영(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지도교수 : 이경은
  • 발행연도 : 2020. 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factors that determine a child’s dependence on a smartphone, as well as the relative influence of factors that determine a smartphone’s dependence on sex, grade and family composition. To this end, factors that determine smartphone dependence based on ecological perspectives were composed of individual, household and community factors, respectively. In 2018, the Daegu Support Group of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used the data of 511 poverty children in the first to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s secondary data to conduct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martphone dependency among poverty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children,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artphone dependency depending on grade, gender and family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smartphone dependency,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ention deficit, depression, aggression, academic performance, neglectful foster care, abusive foster attitude, discrimination experience, teacher support, peer support, and community life adaptation factors.

  Second, the person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dependence of poverty children on smartphones have shown attention deficit and depression throughout the target children. By group, attention deficit and depression in boys, attention deficit and depression in girls, attention deficit and depressio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tion deficit and depression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attention deficit and depression in both the children of a two-parent family and the children of broken family are factors that determine smartphone dependency.

  Third, household factors that determine the dependence of poverty children on smartphones were found to be abusive and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throughout the target children. By group,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in boys, abusive child-rearing attitudes in girls,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usive and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in the children of a two-parent family, abusive and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in the children of broken family are factors that determine smartphone dependency.

  Fourth, community factors that determine poverty children’s dependence on smartphones were found to be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daptation of community life, and support of teachers throughout the target children. By group,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daptation of community life and support of teachers in boy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adaptation of community life in girl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daptation of community life and support of teacher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support of teacher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the children of a two-parent family,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daptation of community life and support of teachers in the children of broken family are factors that determine smartphone dependency.

  Fifth,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personal factors, household factors, and community factors that determine the dependence of poverty children on smartphones were found to be grade, attention deficit, depression,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and adaptation of community life.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ions for preventing and solvi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percentag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risk groups for poor children is relatively larger than for ordinary children, smartphone over-dependence preven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To effectively intervene, a systematic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y organically linking public institutions, schools, related agencies and communities with Community Children’s Centers at the center.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effectiveness, the ability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 workers should be enhanced to properly intervene in children who are dependent on smartphones and to teach and manage how children can make good use of smartphones.

  Second, Public intervention in the area of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should be extended to the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find out dangerous smartphone overdependence groups and to engage in therapeutic intervention. Because of the high effectivenes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prevention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should be allowed to actively carry out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for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ince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is constantly under-aging, policy support for smartphone over-dependence should be extended to children in the future to children as well.

  Third, The involvement of poor children in smartphone-dependent issues should be operated as individualized personal and collective programs according to grades, gender and family composition. In order for such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to take place in the practice area,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must be developed. The intervention of poor children in smartphone over-dependence risk groups should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hospital treatment, counseling, parenting education and crisis intervention in the context of case management.

  Fourth, When depression and attention deficit develop in poor children or problems arise in children due to parental neglect of care,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se problems and their dependence on smartphones. Since children's person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affect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 life adaptations, our society needs to intervene more actively to minimize the experience of children being maladjusted to community life.


  본 연구는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요인을 살펴보고, 더불어 성별, 학년, 가족구성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관점에 기반하여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요인을 각각 개인, 가

정, 지역사회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2018년 지역아동센터 대구지원단에서 대구지역 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 자료 중 초등학교 1~6학년의 빈곤 아동 511명 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수준은 일반아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 성별, 가족구성형태에 따라 스마트폰 의존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의존수준에 따라 주의력결핍, 우울, 공격성, 학업수행능력, 방임적 양육태도, 학대적 양육태도, 차별경험, 교사의지지, 또래의지지, 공동체생활적응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빈곤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개인요인은 대상 아동 전체에서는 주의력결

핍, 우울로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남학생은 주의력결핍, 여학생은 주의력결핍과 우울, 초등 저학년은 주의력결핍, 우울, 초등고학년은 주의력결핍, 우울, 학업수행능력, 양부모가정과 조손 및 한부모가정 모두에서 주의력결핍과 우울이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빈곤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가정요인은 대상 아동 전체에서는 학대적 양육태도, 방임적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남학생은 방임적 양육태도, 여학생은 학대

적 양육태도, 방임적 양육태도, 초등저학년은 방임적양육태도, 초등고학년은 학대적 양육태도, 방임적 양육태도, 양부모가정은 방임적 양육태도, 조손 및 한부모가정은 학대적 양육태도, 방임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빈곤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지역사회요인은 대상아동 전체에서는 차별경험, 공동체생활적응, 교사의지지로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남학생은 차별경험, 공동체생활적응, 교사의지지, 여학생은 차별경험과 공동체생활적응, 초등저학년은 차별경험, 공동체생활 적응, 교사의지지, 초등고학년은 차별경험과 교사의지지, 양부모가정은 차별경험, 조손 및 한부모가정은 차별경험과 공동체생활적응, 교사의지지가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빈곤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인구사회학적요인, 개인요인, 가정요인, 지역사회요인은 학년, 주의력결핍, 우울, 방임적 양육태도, 공동체생활적응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 중 주요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 아동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의 비율이 일반아동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및 치료적 개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해서는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에 두고 공공기관, 학교, 유관기관, 지역사회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더불어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역량 강화를 통해 스마트폰에 과의존된 아동에 대한 적절한 개입과 아동이 스마트폰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대한 공적인 영역에서의 개입을 초등학교 저학년으로까지 확대하여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발굴과 치료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초등학교저학년은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교육의 효과가 크기 때문에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교육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지속적인 스마트폰 과의존 저연령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향후 유·아동에게 까지 스마트폰 과의존 개입을 위한 정책적인 지원이 확대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빈곤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문제 개입은 학년, 성별, 가족구성형태에 따른 개별화된 개인 및 집단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실천영역에서 이처럼 개별화된 개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개입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속한 빈곤 아동의 개입은 사례관리 차원에서 적절한 병원치료, 상담, 부모교육, 위기개입 등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빈곤 아동에게서 우울 및 주의력결핍이 발현되거나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로 인해 아동에게서 문제가 발생할 때,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스마트폰 과의존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아동의 개인 심리·정서적 문제는 또래 관계나 공동체생활적응 등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아동이 공동체생활에 부적응하는 경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우리 사회가 좀 더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


URL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facebook
사회복지학부 재학생 유투브 채널
인스타그램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